경제 공부

[Q&A] 인플레이션, 디플레이션, 스태그플레이션

봄이맘🌱 2023. 10. 15. 20:13

인플레이션

Q: 인플레이션이란 무엇인가요?
A: 물가가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현상을 말합니다. 정부가 화폐를 과다 발행하거나, 세금을 줄이고 재정지출을 늘리는 등의 정책으로 시중에 돈이 과다하게 풀리면, 물가가 오르게 되죠. 물가가 오르면 돈의 가치가 떨어지게 되고, 같은 돈으로 살 수 있는 물품이 줄어듭니다.

Q: 인플레이션에는 어떤 종류가 있나요?
A: 크게 수요 인플레이션과 비용 인플레이션으로 나뉩니다. 수요 인플레이션은 경기가 호황일 때 소비가 늘어나면서 물가가 오르는 것이고, 비용 인플레이션은 기업의 생산비용이 늘어나면서 제품 가격이 오르는 것입니다.

Q: 인플레이션이 심각할 경우, 정부차원에서는 어떤 대책을 마련하나요?
인플레이션이 심각할 경우, 구매력이 떨어지고 생활비 부담이 커지므로 정부는 인플레이션을 통제하기 위해 금리인상, 공급 확대 등의 정책을 시행합니다.

Q: 인플레이션의 장점도 있나요?
A: 적정 수준의 인플레이션은 경기를 부양하는 효과도 있습니다. 인플레이션에 대응하는 방법으로는 실물자산 투자, 적금, 수익성 펀드 투자 등이 있습니다.



디플레이션

Q: 디플레이션이란 무엇인가요?
A: 디플레이션은 경제에서 일반적인 물가수준이 지속적으로 하락하는 현상을 말합니다. 소비자 물가지수가 하락하고, 경제 전반에 걸쳐 상품과 서비스의 가격이 낮아지는 것을 의미합니다.

Q: 디플레이션이 일어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?
A: 디플레이션은 수요가 줄어들거나 공급이 늘어나는 경우 발생합니다. 소비가 감소하고 투자가 위축되면서 경제 활동이 둔화되고, 이에 따라 물가가 하락하는 것입니다.

Q: 디플레이션이 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어떤가요?
A: 디플레이션은 경제에 나쁜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. 소비자들은 물가가 더 떨어질 것으로 예상하고 지출을 미루게 되는데, 이는 경제 위축을 더욱 악화시킵니다. 또한 기업의 수익이 감소하고 투자가 감소하며, 개인과 기업의 실질 부채 부담이 커지기도 합니다.

Q: 디플레이션이 심각할 경우, 정부차원에서는 어떤 대책을 마련하나요?
A: 정부는 디플레이션을 막기 위해 통화 정책을 통해 경기를 부양하고, 재정 정책으로 지출을 늘리는 등 정책을 시행합니다. 디플레이션은 극복이 어려운 만큼 초기에 선제적으로 대응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

스태그플레이션

Q: 스태그플레이션이란 무엇인가요?
A: 스태그플레이션이란 경기가 침체되고 실업률이 높은 상태에서 물가상승률도 높은 현상을 의미합니다. 보통 경기가 좋지 않은데 물가만 오르는 모순된 상황이 발생할 때 사용되는 말입니다.

Q: 스태그플레이션이 일어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?
A: 주로 공급 충격으로 인해 발생합니다. 석유수출국기구(OPEC)의 석유공급 제한 등으로 에너지 가격이 급등하면 공급량이 줄어들고 물가가 오르는 동시에 경기가 위축되는 스태그플레이션이 올 수 있습니다.

Q: 스태그플레이션이 심각할 경우, 정부차원에서는 어떤 대책을 마련하나요?
A: 스태그플레이션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중앙은행이 통화정책을 완화해 경기를 부양하고, 정부가 재정정책을 펴면서 공급을 늘려 인플레이션을 잡는 것이 필요합니다.
      

'경제 공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Q&A] 빅맥 지수&스타벅스아메리카노 지수란?  (1) 2023.10.17
[Q&A] 물가지수란?  (2) 2023.10.17
[Q&A]GDP 성장률이란?  (0) 2023.10.15
[Q&A] 복리와 단리란?  (0) 2023.10.10
금리와 이자의 상관관계  (0) 2023.10.09